네이버 국어사전
'해지'는 '해약'과 같은 말로 '계약 당사자 한쪽의 의사 표시에 의하여 계약에 기초한 법률관계를 말소하는 것'을 의미합니다. “만기가 되어 정기 예금을 해지했다.” 또는 “만기가 되어 정기 예금을 해약했다.”라는 표현을 쓸 수 있습니다.
'해제'는 '유효하게 성립한 계약의 효력을 당사자의 일방적인 의사 표시에 의하여 소급(遡及)으로 해소함.'을 의미하며 “매매 계약을 해제하다.”와 같이 쓰입니다.
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
해제 03 (解除) [해ː-]
「명사」
- 「1」설치하였거나 장비한 것 따위를 풀어 없앰.
¶ 패전한 나라의 군인들은 모두 총기 해제를 당하였다. - 「2」묶인 것이나 행동에 제약을 가하는 법령 따위를 풀어 자유롭게 함.
¶ 계엄 해제/공습경보 해제/그린벨트 해제/수배 해제/암호 해제/경제 제재의 해제를 요구하다/한바탕 폭풍이 지나간 후에 폭풍 해제 사이렌이 울렸다./나는 오늘 저녁 순환 열차 편에 상경하기로 작정했다. 그 차를 타면 아마 통금 해제 시간 앞뒤에 서울에 떨어질 터였다.≪김원일, 노을≫ - 「3」=해면03(解免)「1」.
¶ 직위 해제. - 「4」『법률』유효하게 성립한 계약의 효력을 당사자의 일방적인 의사 표시에 의하여 소급(遡及)으로 해소함.
- 「5」『북한어』책벌 따위를 없애 줌.
¶ 책벌 해제.
「참고 어휘」해지03(解止).
해제-되다(解除--) [해ː-되-/해ː-뒈-]
「동사」
「동사」
- [1]
- 「1」설치되었거나 장비된 것 따위가 풀려 없어지다.
¶ 무장이 해제되다. - 「2」묶인 것이나 행동에 제약을 가하는 법령 따위가 풀려 자유롭게 되다.
¶ 전쟁은 끝났다. 통금이 단축되고 등화관제가 풀렸으며 계엄령은 해제되고 부산의 국회까지 서울로 곧 환도한다.≪홍성원, 육이오≫ - 「3」=해면되다「1」.
¶ 이번에 벌어진 큰 사건으로 경찰청장은 직위가 해제되었다. - 「4」『법률』유효하게 성립된 계약의 효력이 당사자의 일방적인 의사 표시에 의하여 소급(遡及)으로 해소되다.
- [2]
- 『북한어』책벌 따위가 없어지다.
- [1]【…을】
- 「1」설치하였거나 장비한 것 따위를 풀어 없애다.
¶ 무장을 해제하다. - 「2」묶인 것이나 행동에 제약을 가하는 법령 따위를 풀어 자유롭게 하다.
¶ 그린벨트를 해제하다/공습경보를 해제하다/그는 자기의 저작권을 해제하려고 했으나 그것도 하질 못했다. 가정에 방해가 되었던 것이다.≪이병주, 행복어 사전≫ - 「3」=해면하다「1」.
¶ 직위를 해제하다. - 「4」『법률』유효하게 성립한 계약의 효력을 당사자의 일방적인 의사 표시에 의하여 소급(遡及)으로 해소하다.
- [2]
- 『북한어』책벌 따위를 없애 주다.
해지03 (解止) [해ː-]
- 계약 당사자 한쪽의 의사 표시에 의하여 계약에 기초한 법률관계를 말소하는 것. ≒해약01(解約)「2」.
「참고 어휘」해제03(解除).
해지-되다(解止--) [해ː-되-/해ː-뒈-]
「동사」『법률』
「동사」『법률』
- 계약 당사자 한쪽의 의사 표시에 의하여 계약에 기초한 법률관계가 말소되다. ≒해약되다「2」.
¶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자연히 전세 계약이 해지되었다.